728x9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07
10807번: 개수 세기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있다.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-100보다 크거
www.acmicpc.net
n = 리스트의 개수를 입력
nList = 공백으로 구분하여 리스트에 데이터 담기
v = v가 nList에 몇개 있는지 확인
n = int(input())
n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공백으로 구분하여 int형 자료를 받아 list에 삽입
v = int(input())
print(nList.count(v)) # list에 v와 일치하는 값의 개수 출력
의문점
파이썬에서 리스트는 길이를 정해주지 않아도 되는걸로 아는데,,, n을 입력하는 이유가 무엇일까?

아,, 아무튼 정답!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10818 - 최소, 최대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
---|---|
[Python] 백준 10818 - 최소, 최대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
[Python] 백준 10871 - X보다 작은 수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
728x9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807
10807번: 개수 세기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 N(1 ≤ N ≤ 1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져있다. 셋째 줄에는 찾으려고 하는 정수 v가 주어진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정수와 v는 -100보다 크거
www.acmicpc.net
n = 리스트의 개수를 입력
nList = 공백으로 구분하여 리스트에 데이터 담기
v = v가 nList에 몇개 있는지 확인
n = int(input())
n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# 공백으로 구분하여 int형 자료를 받아 list에 삽입
v = int(input())
print(nList.count(v)) # list에 v와 일치하는 값의 개수 출력
의문점
파이썬에서 리스트는 길이를 정해주지 않아도 되는걸로 아는데,,, n을 입력하는 이유가 무엇일까?

아,, 아무튼 정답!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 10818 - 최소, 최대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
---|---|
[Python] 백준 10818 - 최소, 최대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
[Python] 백준 10871 - X보다 작은 수(1차원 배열) (0) | 2023.07.05 |